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Network/패킷트레이서

[Packet Tracer] STP

1nfra 2020. 2. 22. 04:44
728x90

스위치는 플러딩 프레임을 받으면 다시 플러딩해야 한다. 결국 PC는자신이 보낸 데이터를 받게 되고 받은 프레임을 반복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루프가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STP가 사용된다.

 

 

STP는 모든 스위치에 기본적으로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루프가 발생할 수 있는 경로를 논리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목적지로 가는 경로를 하나로 줄여 이중화되었을때 문제를 해결해준다.

논리적으로 차단한 것은 프레임을 주고받지 않는다는 것이고 또한 원래경로가 문제가 생겼을때 

해당 경로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도록 한다는 뜻이다.

 

위에 토폴로지를 보면 SW2에 Fa0/2가 황색인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통신을 할때는

SW3 -> SW1 -> SW2 순서로 통신이 된다. 이 토폴로지는 왜  하필 SW2의 Fa0/2포트를 차단했을까?

또한 원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어떻게 알수있을까?

이것은 BPDU라는 특별한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스위치는 BPDU프레임을 받아 STA을 통해 어떤 포트를 차단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Bridge ID는 루트브리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2바이트 우선순위 + 6바이트 MAC주소로 구성된다.

모든 스위치의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에는 가장 작은 MAC주소를 가진 스위치가 루트 브리지로 선택된다.

show spanning-tree 명령어로 Bridge값과 MAC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SW2 Spanning-tree

 

일단 SW2의 Spanning-tree 결과를 보니 Root ID의 MAC주소와 Bridge ID의 MAC주소를 비교해보면

다른것을 알 수있다. 따라서 SW2는 루트브리지로 선택되지 않았다. 다른 스위치도 확인해보자 !

 

SW1 Spanning-tree
SW3 Spanning-tree

이것을 보면 SW1이 루트브리지로 선택된것을 볼 수 있다.

 

오늘은 STP가 뭔지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STP는 더 많은 심화내용이 있으므로 나중에 정리해보겠다.

728x90

'Network > 패킷트레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cket Tracer] PPP CHAP  (0) 2020.03.10
[Packet Tracer] PPP PAP  (0) 2020.02.27
[Packet Tracer] VTP  (0) 2020.02.06
[Packet Tracer] Port-Security  (0) 2020.02.03
[Packet Tracer] inter-VLAN  (0) 2020.02.02